CPA/고급회계

CPA/고급회계

CH 07. 파생상품회계

요약 정리 1절 : 파생상품 기초개념 자세한 개념은 재무관리에서 다루는 걸로 하자. 고급회계에서 자주 출제되는 파생상품은 선도계약이다. 이에 대한 내용만 간략하게 살펴보면 * 통화선도매입계약 : 선도를 매입하는 포지션으로서 정해진 돈을 주고 사겠다 * 통화선도매도계약 : 선도를 매도하는 포지션으로서 정해진 돈을 받고 팔겠다 계약 포지션에 따라 줄 돈이 고정되는 지, 받을 돈이 고정되는 지를 유의하면 되겠다. 또한, 파생상품은 하나의 거래(계약)가 회계 장부 상에서 자산으로 적힐 수도, 부채로 적힐 수도 있다. 그것은 파생상품의 특성(권리와 의무가 동시에 존재하는) 때문이다. 2절 : 파생상품 회계처리 파생상품을 회계처리 할 때는 그 파생상품이 투자목적과 위험회피목적 중 어느 용도이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..

CPA/고급회계

CH 06. 환율변동효과

1절 : 환율변동의 개념 별 게 없다.. 굳이 따지자면 현물환율과 선도환율의 개념 정도.. 대신 개괄적으로 보면 환율변동효과에 대한 회계는 "개별 자산·부채 환산"과 "전체 재무제표 환산" 이 나오게 되는데 *개별 자산·부채 환산과 전체 재무제표 환산은 서로 관련없는 별개의 회계처리이다. 즉, 전체 재무제표 환산에서 화폐성/비화폐성 자산·부채를 따지는 것이 아니다. 2절 : 개별 자산 · 부채의 기능통화로 환산 1. 최초인식 (화폐성과 비화폐성을 구분하지 않는다.) : 최초인식 시에는 거래일의 현물환율을 적용 2. 화폐성 외화항목 : 자산, 부채 => 결제일/마감일 환율 수익, 비용 => 평균환율 3. 비화폐성 외화항목 : 원가법 적용 시 환율변동효과(외환손익 계정 등장) 발생하지 않는다. 공정가치법 적..

CPA/고급회계

CH 05. 관계기업과 공동약정

2절 : 지분법 회계처리 * 지분법 평가의 실질의 이해 지분법이익 = 관계기업의 당기순이익 (NI) * 투자자(甲기업) 지분율 - 상각액 실질 : 합병이 아닌 관계기업 혹은 연결의 경우 乙기업(관계기업)의 사업은 계속 유지되므로 乙기업의 재무제표가 두 군데서 나타나게 된다. 乙기업은 기존 자신의 BV로 감가상각, 매출원가를 기록하고 甲기업은 합병, 지배시 FV로 乙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사오게 되므로 乙기업의 사업성과를 자신의 재무제표에 기록할 때 FV(취득원가)를 기준으로 감가상각, 매출원가 등을 인식해야하므로 甲기업과 乙기업의 재무제표 및 당기순이익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. 따라서 甲기업의 재무제표에 적힐 乙기업의 NI를 甲기업의 기준으로 바꿔주는 것이 사실상 지분법이익의 실질이다 관계기업의 당기순이..

CPA/고급회계

CH 04. 연결회계 기타사항

[1절 : 단계적 취득] 종속기업투자주식이란 몇% 지분의 주식이에요~를 나타내는 계정 단계적 취득의 경우, 내가 미리 가지고 있던 금융자산을 공정가치 평가해주고 그걸 이전대가로 주게 되는데, 이전대가라고 이해하지말고 계정의 이름을 바꾼다고 생각(FVPL 금융자산 등 에서 종투주식으로) 그리고 공정가치 평가해주는 이유는 내가 해당 금융자산을 샀을 때 기업가치(즉, 주가)와 연결하는 날의 기업가치가 다르기 때문이다. 다르면 연결 시에 지배기업이 "내가 70%짜리 지분(의 주식)을 가지고 있어요" 라고 차변에 기록해주는데 (by 종투주식) 이때 70%짜리 지분, 즉 순자산의 70%에 해당하는 가치(즉 총 발행주 중 70%)가 변동하였으므로 그것에 맞춰서 공정가치로 평가하고 이에 대한 손익을 인식. 이렇게 구한..

CPA/고급회계

CH 03.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

결국 연결은, 지배기업이나 종속기업의 F/S에 비해서 연결 F/S에서 추가로 더 인식해야하는가? 아니면 덜 인식해야하는가? 를 따지는 것이다 ex 1 : 순자산차이 지배력 획득일 현재, 종속기업 재고자산의 공정가치가 150,000 이고 BV가 125,000 인 경우 : 종식기업의 B/S에는 재고자산이 125,000으로 적혀 있는데, 합병(연결)은 공정가치로 인수하므로 연결 F/S시 재고가 150,000으로 적혀야 한다. 이에 따라 연결수정분개에서 재고를 25,000 더 인식해줘야 한다. 이러한 차이는 종속기업의 재고자산이 팔리면(소멸하면), 연결 F/S에서는 25,000 만큼 더 큰 재고자산이 팔린 것이므로 COGS가 25,000만큼 더 크게 된다. (사실상 자산 소멸에 따른 유보추인의 개념) ex 2:..

이쿠완
'CPA/고급회계' 카테고리의 글 목록